본문 바로가기

현재와 미래/남승우의 수학교실

Chapter 6 - 자연상수 e의 도입과 지수함수의 미분법

자연상수 e라고 했습니다.

 

자연상수 e는 

 

 

 

위 이미지에서 보듯 2.7182818284...로 순환하지 않고 끝없이 이어지는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 

 

즉 무리수입니다.

 

그냥 그러한 어떤 특정 숫자가 존재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그 숫자에 e라는 이름을 붙여서 불러주는 겁니다.


 

원주율이 원의 지름과 둘레 사이의 비율을 상징하는 것과 같이

 

자연상수 e는 그것의 존재 이유가 존재합니다.

 

굉장히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1+무한소)^{무한대} $

 

무한대라 함은 집합론에서 그와 관련된 개념(무한집합)에 대해서 다루고 논해보았지만

 

이곳에서는 그냥 엄청나게 큰 그 숫자라는 여러분의 상식적인 개념의 선으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무한소라 함은 무한대의 반대의 개념과 같습니다.

 

엄청나게 0에 가까운 작은 숫자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보다 훨씬 훨씬 몇억 몇조 몇경 몇해의 제곱의 몇해제곱배보다 훨씬 훨씬 훨씬 더 작고도 작고도 모잘라서 작은 숫자보다는 더 작은 끝없는 말도 안되는 작음을 가진 작은 숫자입니다.

 

1에 그러한 먼지같은 숫자를 더해서 그것을 우주보다 더 큰 숫자만큼 제곱하면 놀랍게도 특정 상수로 수렴하게 됩니다.

 

그것을 e라고 부릅니다.

 

e의 정의는 다시 써서 다음과 같습니다.

 

$ e=\displaystyle \lim_{x \to 0}(1+x)^{\frac{1}{x}} $

 

정의를 잘 들여다보면

 

x가 한없이 0으로 가까이 가기때문에

 

1+x는 1+무한소임을 함의하고

 

그것의 1/x승이라 함은 무한대 제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그것은 자연상수 e의 정의가 됩니다.

 

기존에 이야기한 원주율의 존재 이유처럼 자연상수 e에도 존재 이유가 존재한다고 했습니다.

 

굉장히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일단은 지금 그 이유를 두 가지 정도로 받아들입시다

 

 

 

1. 지수함수를 미분하기 위해서

 

2. 자연현상을 해석할 때에 많이 등장하니까(이것은 과학현상뿐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1번이 과연 그 이유가 되는지 살펴봅시다.

 


 

 

지수함수라 함은 어떠한 상수의 지수가 변수인 경우를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서

 

$ y=2^x $

 

같은 함수를 이야기하죠

 

(1,2)나 (2,4)와 같은 점들이 해당 함수의 그래프가 지나는 점이 될 것입니다.

 

일반적인 버전으로 생각하여

 

$ y=a^x $

 

이 녀석을 미분해보겠습니다.

 

미분한다는 것은 도함수를 구하는 것

 

도함수를 구한다는 것은 미분계수의 정의를 x에 대해 일반화 한다는 것

 

등등의 논리를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도함수의 정의를 이용해 표현해봅시다.

 

$ \frac{dy}{dx}=\displaystyle \lim_{h \to 0}\frac{{a^{x+h}-a^{x}}}{h} = \displaystyle \lim_{h \to 0}a^x\frac{a^h-1}{h}=a^x\displaystyle \lim_{ h\to 0}\frac{a^h-1}{h} $

 

따라서 우린 다음 극한값을 알아내어야 합니다.

 

$\displaystyle \lim_{ h\to 0}\frac{a^h-1}{h}$

 

위 극한 값은

 

$ ln(a) $임이 알려져있습니다.

 

그 유도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인용)

 

 

만약 위 유도과정이 이해가 안된다면 세 가지를 의심해보아야합니다.

 

1. 극한에 대한 이해

https://m.blog.naver.com/jjangting/222090352532

 

[수학2] 함수의 극한 개념설명

01 함수의 극한 수렴과 발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개념설명 영상 https://tv.naver.com/v/15828838 최근...

blog.naver.com

 

2. 로그의 정의와 자연로그

https://m.blog.naver.com/heoyoonhomath/222927968761

 

로그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광장동수학 허윤호수학학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그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로그...

blog.naver.com

 

추가로 위와같은 로그의 의미에서 밑이 e인 경우를 자연로그라고 부르고 ln과 같이 쓰도로 약속했습니다.

 

개념이 비어있다면 따로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을 연재하면서 그것들까지 소개하는 것은 글의 흐름에서 많이 벗어날 확률이 크기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따라서 

 

$\frac{dy}{dx}=ln(a)a^x$입니다.

 

위 유도과정에서 자연상수 e의 정의가 보이시나요

 

자연상수 e의 정의를 알고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제 모든 지수함수를 미분할 수 있습니다.

 

특히 $y=e^x$인 경우에 대해 생각하면

 

이를 미분하면 $y'=ln(e)e^x$가 될 것인데 $ln(e)=1$입니다. 즉 $y'=e^x$입니다.

 

예제를 풀어보고 마칩시다.

 

예제1 $ y=3x^23^x $일 때 y'은?

 

3x^2과 3^x의 곱으로 이루어진다고 생각합시다.

 

그렇다면 곱꼴의 미분법을 적용합시다.

 

앞'뒤+앞뒤'이므로

 

$ y'=6x3^x+3x^2ln(3)3^x=3^x(6x+3ln(3)x^2) $

 

입니다.

 

예제2 $ y=\frac{e^x}{x} $의 도함수는?

 

분수꼴의 미분법을 적용합시다.

 

위/아래의 도함수는 (위'*아래-위*아래')/아래^2입니다.

 

이를 적용하면

 

$y'=\frac{e^x*x-e^x*1}{x^2}=\frac{e^x(x-1)}{x^2}$입니다.

 

이상으로 자연상수와 지수함수의 미분법에 대한 내용을 마칩니다.

 

다음 시간엔 비슷한 맥락으로 로그함수의 미분법.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연쇄법칙(합성함수의 미분법)에 대해서 다룹시다.

 

이상!